오늘부터는 1930년부터 1945까지 15년간을 올리겠습니다.
'일제강점 제3시기'로 분류되는 이 시기의 마산은 어떤 모습이었으며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요?
<일제의 병참기지가 된 한반도>
이 시기는 일제가 대륙침략의 야욕을 드러낸 1931년 만주사변으로부터 일제가 패망한 1945년까지로 전쟁수행을 위해 한국을 병참기지화한 시기입니다.
1929년 10월 미국에서 발발한 경제공황은 자본주의 세계 전반에 파급된 대공황이었습니다. 대미무역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던 일본 경제도 여기에 휩쓸리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공업생산이 위축되고 임금체불 노동자의 대량 해고로 노사 간의 갈등과 대립이 격화되었고, 그 여파가 농촌에까지 이어져 몰락하는 농가가 속출했습니다.
대내외적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한 일본자본주의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1931년 만주에 대해 무력 침공을 감행하게 되며, 만주 침공 후에는 중국본토시장을 둘러 싼 열강의 대립으로 1937년 7월 중일전쟁을 일으키고 드디어 1941년 태평양전쟁으로까지 확대시킵니다.
일본의 독점자본은 1931년 만주 침공시기부터 중일전쟁 전․후기까지 전쟁 수행에 유리한 입지조건을 갖춘 한국에 급속히 진출하여 광물자원의 약탈적 개발과 군수공업을 이식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경제는 커다란 변화를 가져왔으며 전시경제체제하에「대륙전진 병참기지로서의 한반도」역할이 강조되어 산업구조의 군사적 개편이 진행되었습니다.
식민지 권력과 유착한 일본 독점자본의 이식은 일본제국주의가 절실히 요구하는 화학공업․금속공업․광업 등의 군수산업부문에 집중되었고, 그 결과 한국에는 급속하게 대형 공업시설이 들어왔습니다.
이 때 한국에 진출한 일본독점자본은 당시 일본 3대 재벌이었던 三井(미쯔이)․三菱(미쯔비시)․佐友(수미모토)를 비롯해 野口(노구치)․日鐵(닛데츠)․東拓(도다쿠)․伊藤(이토)․片倉(가다쿠라) 등의 중견재벌이었습니다. 이들은 주로 화학공업․금속공업․광업 등의 군수산업에 집중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은 당시로서는 엄청난 금액인 5억 엔을 들여 1944년에 준공한 압록강 수풍댐 수력발전소입니다.
두 번째 사진은 1942년 준공한 흥남 조선질소비료공장 전경이며,
마지막 사진은 대전에 있었던 군시제사공장(郡是製絲工場)입니다. 부지면적 26,750 건물 5,085평 제사기 400대, 종업원 약 600여명, 연간 조업일수 344일로 1930년 기준, 한국에서 다섯 번째로 큰 제사공장이었습니다.
그런가하면 일제는 1931년 일제의 만주침략 이후 만주 및 중국의 철․석탄 등의 지하 자원과 콩을 비롯한 농산물과 각종 군수물자의 수송 등 전시수송력 증강을 위해 한국의 철도와 항만건설에 주력하였습니다.
남북 1,000㎞에 달하는 부산-신의주의 대륙간선(大陸幹線)의 복선화가 이 시기에 실현되어, 1942년에는 철도 총 연장이 약 4,536㎞로 1919년의 2,197㎞ 보다 2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1876년 개항과 동시에 각 개항지에 그들의 우체국을 설치했던 한국의 통신수단을 정비하고 그 독점적 지배도 추진하였습니다. 이러한 통신지배는 경제적 수탈뿐만 아니라 군사․정치적 지배, 특히 그들의 소위 치안 유지에 필수적인 것이었다.
마산도 개항 때문에 체신의 역사가 매우 빨랐습니다. 개항 6개월 후인 1899년 11월 4일 당시의 행정 구역으로 창원시 외서면 중성리(현 마산합포구 중성동)에 부산우편전신국 마산출장소가 발족하여 12일 후인 11월 16일 사무를 개시하면서 우편과 일어문 전보를 취급했으며, 이듬해인 1900년 4월 15일 마산우편국으로 승격되어 6월 1일부터 업무를 시작했습니다.
1937년 중일전쟁이 개시되고 다시 태평양전쟁으로 전쟁이 확산된 식민지 후기에는 「대륙전진기지로서의 한반도」의 역할이 더욱 강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한반도는 전시 경제체제가 한층 더 강화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일본자본의 한국진출이 보다 활발해지고 한국 내의 공업도 급속히 발전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산업발전에 필요한 원료․자재․노동력은 일본인 소유의 대형군수공장으로 집중된 반면, 한국 민족계 산업자본에 대해서는 오히려 통제와 억압이 가중되어 대부분의 한국인 중소기업은 쇠퇴해 갔습니다.
이런 변화 속에서 일제의 식민지배는 강압 폭력정책으로 치닫고 국내의 사회 경제적 상황도 이에 맞물려 최악의 상태로 변했습니다. 또한 기반시설을 갖추지 못한 도시에 피폐한 농촌에서 유입된 이농인구 때문에 도시문제는 점점 더 심각하게 되었습니다.
줄여 말하면, 한국내의 도시들은 ① 일본자본주의 도시의 상품시장 및 유휴자본의 투자대상지 ② 군사적 목적을 위한 세력 거점지 ③ 식민지 내 기생적 매판세력의 중심지 ④ 식량 및 원료집산지라는 성격을 동시에 띠고 있었습니다.
한반도 전체가 전쟁의 소용돌이에 빠진 15년 간, 마산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직물, 술, 부식 등 군수품을 보급하기 위해 공장들이 들어섰고, 마산에서 생산된 물자를 전장으로 나르기 위한 부두가 건설되었습니다.
아래 그림처럼 지금도 돝섬으로 연결되는 마산여객터미널 일대의 제1부두, 제2부두, 중앙부두가 바로 이 시기에 건설된 것들입니다.<<<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2) - 강점제3시기 (0) | 2012.08.13 |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21) - 강점제3시기 (0) | 2012.08.06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9) - 강점제2시기 (0) | 2012.07.23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8) - 강점제2시기 (0) | 2012.07.16 |
그림으로 보는 마산도시변천사 (117) - 강점제2시기 (2) | 2012.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