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지도로 보는 창원17. - 창원부 地乘地圖
● 昌原府 지승지도(奎15423)/ 필사본(방안식)
- 지도 개요 : 지승은 군사요지인 일부의 관방처와 전국의 군현을 총 6책으로 나누어 그린 그림식 지도책으로 각 책의 크기는 세로*가로가 27.0*19.0cm이다.
1책에는 경기도, 2책에는 충청도, 3책에는 경상도, 4책에는 전라도, 5책에는 평안도와 황해도, 6책에는 함경도와 강원도가 수록되어 있다.
지도의 전반적인 구도와 내용은 해동지도, 광여도, 여지도와 거의 비슷하여 동일 필사본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지도제작 시기는 빨라도 1776년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읍치를 중심으로 부내면, 동면, 서면, 남면, 북면 5면이 나타나 있다.
중심이 되는 읍성을 지도 중심에 크게 배치하고, 주변에 산세, 물길, 도로망을 표현하고 있다.
자연지리 조건을 살펴보면
북쪽방향으로 칠원계에 면하여 茂陵山이 있으며, 아래로 철마봉과 백월산, 천주산이 있으며, 북면으로 넘어가는 고개길로 堀峴이 있다.
서쪽 방향으로 산은 두척산과 성황봉 및 고운대가 표기되어 있다. 고개길은 함안방향으로 伊里峴, 구병영성에 내서로 가는 방향에 斗尺峴이 있다.
동쪽 방향으로 전단산과 김해로 넘어가는 고개길로 露峴이 있으며, 남측방향 웅천으로 가는 방향에 장백산이 있다. 읍성 아래 남측에서 반룡산이 합포만에 면하고 있다.
읍성의 배치를 살펴보면
동서남북 방향으로 사대문이 설치되고, 굴현에서 내려오는 하천이 성내를 관통하여 남측으로 흐르고 있다. 건물로는 衙舍가 3동, 客舍 1동, 倉舍가 1동이 있으며, 중앙 부분에 方池를 두고 蓮亭과 四美堂이 배치되어 있다.
읍성 주변 건물로는 전단산 아래 봉림사 자여역이, 웅천가는 길목에 안민역이 있다.
향교는 서면 구병영 인근에 있으며, 서원은 고운봉 아래 배치되어 있다.
해안변에 창사 및 선소와 월영대가 있다.
사찰은 무릉산 아래 영암사, 백월산 아래 남백사, 서쪽 두척산 뒤로 광산사가 있다.
봉수는 내포향에 있는 여포봉과 두척산 이래 성황봉 2개소가 나타나고 있다.
주요 나루터로는 밀양으로 향하는 낙동강변에 孫津이 있다.
주요 도로망을 살펴 보면
북측방향 도로는 굴현을 지나서 북면 온천으로 가는 길에 우측 방향으로 백월산(420M) 앞 월백리 마을을 통과해 밀양으로 향하는 나루터 孫津으로 향하는 길이 있으며, 조금 더 지나 무릉산(556M)을 끼고 좌측 방향으로 해서 칠원으로 가는 길과 우측으로 철마산(지금의 마금산 280M)을 돌아 영산으로 향하는 나루터로 향하는 길이 있다. 지금의 길에서 그 흔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다.
동측 방향의 길은 읍성 동문을 통과해 동읍을 지나, 진례로 넘어가는 고개인 露峴을 거쳐서 김해로 가는 길이 나타나 있다.
남측 방향의 길은 현재의 창원 중심지를 통과해서 안민고개를 넘어서 웅천으로 향하는 길이 나타나 있다.
서측 방향으로 가는 길은 대략 두척산을 경계로 내서면으로 향하는 길과 외서면(구 마산 시가지)방향으로 향하는 길로 나누어 진다.
구병영이 있는 합성동을 지나 석전동에서 길이 나누어져 회성동을 지나 중리를 거쳐 칠원으로 가는 길이 있으며, 좌측으로 꺽인 길은 내서읍을 통과해서 마산대학교 앞 신당고개(伊里峴) 넘어 함안 산인으로 가는 길이 있다.
석전동에서 아랫방향으로 나타난 길은 양덕을 지나 어시장을 통과해서 신마산을 거쳐 밤밭고개(栗峴)를 넘어 진동으로 향하는 길이 있다. 또한 중리에서 남측으로 향한 길은 감천을 지나 쌀재고개를 넘어 현동에서 합류되는 길이다.
창원부 내의 물길(하천)을 살펴보면
크게 읍성 정문을 중심으로 좌우 2방향에서 흘러내려 봉암만에서 합류하여 마산만으로 연결된다. 당시의 하천은 약간의 선형의 개선은 있었지만, 현재의 하천과 큰 흐름을 같이 하고 있다.
봉암갯벌에서 좌우로 창원천과 남천으로 구분되어 흐르고 있다. 좌측의 창원천은 차상사거리에서 좌측의 내동천과 합류되는 분기점이다. 지도상에서 성곽 좌측에서 발원하여 흐르는 하천이 내동천으로 볼 수 있다. 내동천의 시작점은 소계동 소계천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창원천이 여기에서 다시 상류로 거슬러 올라가면 파티마 병원을 지나 대원교 지점에서 촤측의 하남천과 창원천 본류가 합류되는 지점으로 볼 수 있다.
하남천의 상류는 현재 도계동을 기점으로 하고 있다.
지도상 성내을 통과하는 하천은 천주산에서 시작하여 두 번째 하천으로 볼 수 있으나, 현재 인 하남천으로 판단되나, 현재 창원초등학교 옆에서 흐르는 하천은 성밖에서 좌측으로 굴절하여 내동천과 합류되는 형태이다.
이것은 신도시를 조성하면서 하천의 선형을 개선하면서 변형된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 동측부분을 하천을 살펴보면 현재의 旃檀山(현재의 정병산)을 기점으로 흐르는 하천이 현재의 창원천으로 볼 수 있다.
우측 하단의 하천은 현재 공단을 가로지르고 있는 南川이며, 바로 위의 하천은 토월천으로 판단된다. 물론 당시의 물길 선형은 도시 조성시 직선화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지승지도에 포함된 내용을 자연지리와 인문지리로 구분하여 정리하면 다음 표와 같다.
구분 |
소분류 |
명 칭 |
계 |
행정 |
면.리 |
부내면, 동면, 북면, 서면, 남면 |
5 |
자연지리 |
산천, 고개 |
두척산, 고운대, 무릉산, 천주산, 백월산, 전단산,반룡산, 장백산 두척현, 이리현, 굴현, 노현 |
12 |
島嶼, 나루터 |
손진 |
1 | |
인문지리 |
읍성 |
아사3동, 객사, 창사, 시미당, 연정, 4대문 |
11 |
교육 |
향교, 서원 |
2 | |
사찰 |
광산사, 영암사, 백월사, 봉림사 |
4 | |
역원, 烽燧 |
자여역, 안민관, 여포봉, 성황봉 |
4 | |
기타 |
倉舍, 船所, 古兵營, 월영대 |
4 |
전체 지도의 구성의 특징은 타 지도에 비해 부내 도로망을 상세히 표현하였다. 인접 군현으로 향하는 모든 길을 나타내었다. 지금의 도로망과 비교해서 보는 것도 흥미로운 일이다.
地圖地志에는 지도상에 표기 하지 못한 지역사회, 경제, 군사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구분 |
소분류 |
세부 내용 |
계 |
행정 군사 |
호구 |
- 호구수 : 7,704호 - 인구 : 28,282명 (남자 11,890명, 여자 16,938명) |
|
군병 |
- 各色軍 : 3,846명 - 京各司諸色軍 : 1,213명 - 監營屬 ; 285명 - 統營續 : 1,627명 - 右兵營屬 : 837명 - 左水營屬 : 9명 반 - 金海鎭屬 : 1,088명 - 烽軍 : 25명 = 합계 8,930명 |
8 | |
기타시설 |
- 烽(燧) 合 13庫, 驛 4庫, 寺 4庫, 倉 2庫, - 邑城周面 2,004尺 |
5 | |
경제 |
元田沓 |
- 6,292結11負9束, (전2,670결80부67속, 답3,622결60부6속) |
|
實結 |
- 4,606속62부6속 (案田1,720결80부7속, 案畓2,855결81부9속) |
| |
곡물 |
- 別餉米 : 1,104석 14두 - 元會米 : 38석 8두 - 各樣雜穀 : 1,101석 5두 - 監營米 : 44석, 잡곡 2,319석 14두 - 統營米 : 1,551석, 잡곡 2,477석 7두 - 私賑雜穀 : 3,309석 2두 - 帖價雜穀 : 601석 7두 - 備荒租 : 463석 - 浦項雜穀 : 1,791석 8두 - 華山劃付雜穀 : 3,100석 - 儲置米/저치미 : 486석 6두 - 戰舡價價 : 65석 10두 - 除留米 : 169석 5석, 太 : 1석8부 - 各樣軍作米 : 217석 1두 - 射木作米 : 27석 1두 - 作租 : 151석 2두 |
16 |
'역사속 도시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지도로 보는 창원 19. - 진해현 지승지도 (0) | 2017.08.07 |
---|---|
고지도로 보는 창원 18. - 웅천현 地乘地圖 (0) | 2017.07.31 |
고지도로 보는 창원 16. - 칠원현 조선지도 (0) | 2017.07.17 |
고지도로 보는 창원 15. - 진해현 조선지도 (0) | 2017.07.10 |
고지도로 보는 창원 14. - 웅천현 조선지도 (0) | 2017.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