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경남지역 주거변천사 - 4 / 개항기부터 일제강점기

by 운무허정도 2018. 5. 7.

2) 개항기부터 일제시기까지 - 1

 

구한말(舊韓末)까지도 조선 사람들이 살았던 보편적인 주거 유형은 한옥이었다.

 1882년 그리피스(W. E. Griffis)가 쓴 한국에 관한 역사서 은자의 나라 한국에는 당시 전통 한옥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벽은 방바닥으로부터 색깔 있는 벽지에 이르기 까지 훌륭하게 치장되어 있다. 창문은 네모꼴이며 안이나 바깥쪽으로 살을 대었고 기름을 먹였거나 먹이지 않은 거친 종이를 바른다. 대나무를 잘게 쪼개어 만든 발은 창의 장식을 매우 다양하게 꾸며주고 있다. 유리는 아직도 조선의 평민사회에서 거의 알려지지 않은 장식품이다.

 

하지만 당시 문화를 주도했던 소수의 중·상류 계층의 주택을 제외하면 대다수 사람들은 그때까지도 초가에서 소박하게 살고 있었다.

1876년 강화도조약으로 시작된 개항은 외국의 여러 문물을 직접 유입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에 따라 일본과 서구의 건축문화도 들어오게 되었다.

개항 이후 항구를 중심으로 일본인 거류지가 형성되면서 부산·서울·인천을 비롯해 경남에서는 마산에 일본식 주택이 본격적으로 유입되었다.

소위 신마산이라 불리는 마산의 개항장은 일본식 주택이 많이 지어져 마치 일본의 소도시 같은 도시 경관을 가지게 되었다. 일본 해군기지와 함께 조성된 진해 신도시에도 나가야(長屋) 중심의 일본식 주택이 대거 건립되었다.

그런가 하면 1907년부터 통영시 도남동 일대에 조성하기 시작한 일본인 이주 어촌 오카야마무라(岡山村)는 나가야(長屋)를 중심으로 신사·학교·사당 등이 들어섬으로써 전형적인 일본 어촌 형태로 조성되기도 했다.

<창원시 진해구(구 진해시) 중원로터리 부근 일본인들이 살았던 목조 나가야(長屋) 전경>

 

<통영 도남동 오카야마무라(岡山村) 전경>

 

<오카야마무라 우편소(남포우편소, 1912년 건축)의 사택>

 

개항장에 건설된 일본인 주택들은 당연히 일본인의 자본에 의해 일본인의 설계와 시공으로 이루어졌다. 그들 대부분이 상업에 종사했기 때문에 주택과 점포를 겸한 단층 혹은 이층의 주상(住商) 복합건물이 주종을 이루었다.

이 같은 건축형식은 당시로서는 생소한 외래적인 주거형식이었다.

온난 다습한 풍토에서 발달한 일본식 주택은 한국의 기후와 풍토에 맞지 않아 점차 다다미를 덜어내고 온돌방을 들이는 일본인들도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