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속 도시이야기

『진해』(1912) - 22. 직업별

by 운무허정도 2025. 3. 31.

22. 직업별

 

진해의 거주민 호구 수는 시시각각으로 변동하고 있으므로 그 실제 숫자를 알아내기는 극히 곤란할 것이다.

6월 상순 진해경찰서가 조사한 직업별 호구수란 것이 있다. 정확한 것으로 믿기 때문에 아래에 수록하기로 했다.

이 통계에 의하면 1,7826,935명이란 숫자를 보이고 있다.

이는 단순히 신시가지뿐만 아니라 비봉, 현동, 경화동, 덕산 등 관내 일반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토지에 소장은 면치 못할 노릇인 만큼 신개지(新開地)는 더더욱 그렇다.

이 통계가 나왔을 때는 공사 종말기라서 가까운 시일 내에 번성기에 접어드는 시기였기 때문에 조금 감퇴 기미를 보이고 있었을 때이다.

그러기 때문에 이 숫자 따라 기주(寄住, 임시로 남의 집에 몸을 의지하고 지냄)한 자나 장래 숫자를 예상할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직업별 호수 직업별 호수
관공리 62 99 114 213 관공서보조원 24 32 29 61
사무원 9 39 25 64 통신원 7 12 9 21
여관 43 89 94 183 하숙업 19 25 37 62
요리점 70 93 114 207 음식점 24 38 47 85
노점 189 275 293 568 전당포 32 57 49 106
고물 25 39 44 83 이발업 29 53 38 91
미용 5 23 25 48 목욕탕 8 32 30 53
대서업 11 19 23 42 의사 10 23 22 45
산파 6 9 13 22 수의사 1 3 3 6
한약상 6 19 23 42 매약상 6 19 18 37
약제사 1 1 0 1 보철기사 2 3 5 8
신문취급 9 9 12 21 극장 1 0 0 0
저울상 1 1 1 2 주선업 5 72 9 16
운송업 12 18 23 41 안마 14 23 27 50
잡화상 31 70 69 139 약복상 2 3 5 8
재봉사 8 17 13 30 철물점 7 20 15 35
모자상 3 9 7 16 자전거 3 5 3 8
재료상 10 23 20 40 통제조수리점 6 13 8 21
신발상 6 14 7 21 장신구 4 9 5 14
절임식품점 4 6 9 15 유리 4 9 7 16
양품상 3 7 4 11 다다미가게 9 27 12 39
양철가게 10 23 18 41 생선가게 39 54 37 91
염색 2 5 4 9 청과상 15 38 23 61
인조석 1 2 2 4 세탁가게 9 24 17 41
두부집 8 32 12 44 문구상 2 3 2 5
서적상 2 3 1 4 제재업 2 9 8 17
재목상 14 48 34 82 점등업 4 9 6 15
서양전등가게 5 10 7 17 용달업 2 3 2 5
(綿)가게 5 5 7 12 ()제조 1 2 2 4
음료수 5 18 22 41 고물상 13 19 15 34
대본가게 3 5 7 12 정육점 7 15 13 28
간호부 0 0 6 6 유희장 9 18 15 33
사진업 2 5 4 9 폭발물기사 1 2 3 5
대장간 19 47 30 77 금세공 1 3 4 7
경매소 2 0 0 0 예능인 1 1 1 2
인쇄소 2 9 6 15 도장가게 4 6 4 10
도선업 0 2 0 2 탯줄취급 1 3 1 4
인력거 5 10 3 13 마차업 5 12 4 16
우차(牛車) 39 78 42 120 잡화상 93 187 190 377
과자점 39 78 64 142 시계집 5 12 9 21
땔감숲 13 29 24 54 표구사 6 18 23 41
간판집 4 9 4 13 도자기상 6 10 7 17
청부업 35 97 64 161 미곡상 10 23 29 52
기모노집 4 17 9 26 가정잡화 7 19 16 35
가스전기상 2 3 2 5 잠수업 7 12 7 19
어구상 1 2 1 3 엿제조 1 2 2 4
대금업 2 3 2 5 제등가게 2 4 4 8
제분업 1 2 2 4 정미소 2 3 3 6
신발제조 1 3 1 4 조경사 3 4 2 6
승려 3 5 1 6 신관 1 1 0 1
선원 16 32 20 52 기관수 4 6 3 9
대목 153 549 216 765 토목기사 9 23 14 37
미장이 49 173 92 285 목공 37 97 53 150
석공 49 113 53 166 토공 32 59 47 106
기와공 37 59 32 91 지붕공 5 12 7 19
인부 57 189 32 221 잡업 49 93 21 114
무직 73 159 73 232 예기 0 0 57 57
작부 0 0 113 113 접대부 0 0 39 39
합계 1,782 3,916 3,019 6,935  

 

위와 같이 거의 빠진 직업은 없을 것 같다. 가장 많은 것은 노동에 의거해 생활하고 있는 노동자이다.

노동자라고 해도 여러 종류가 있거니와 주로 사공, 미장이, 목공, 석공이란 종류이며 이에 다음가는 것이 노점, 요리점인데 요리점은 그 숫자도 예기, 작부, 시중드는 여자까지 합치면 꽤 많은 숫자가 된다.

이 직업별이란 것을 보면 긴 말 필요 없이 토지의 소장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마치 이 통계가 나왔을 때 사공, 미장이, 목공과 같은 노동자가 주로 감퇴한 시기에 해당하니, 대체로 호구가 적어 보이기도 하는데, 건축 건수 따라 움직이는 숫자이기에 표준으로 삼을 수는 없다.

또한 다소간의 조사 누락이 없다고는 확언할 수가 없다. 대강 이런 정도의 숫자라고 보고 있으면 크게 틀림이 없을 것이다.<<<

진해시가 주길정

 

이 글은 2022년 창원시정연구원이 1910년대와 20년대 진해의 모습을 담은 세 권의 책을 번역하여 하나로 묶어 낸 지역사발굴연구 교양총서 3 근대 문헌 속 진해  진해 부분이다. 1912년 출간되었으며 저자는 스기야마 만타(杉山萬太)이다. 본 포스팅은 비영리를 전제로 창원시정연구원의 양해를 받았다.